*염소 소독
- 유리 잔류 염소량은 0.2ppm 이상(감염병 발생 시 유리 잔류 염소량은 0.4ppm 이상)이고 결합 잔류 염소량은 1.5ppm이상이다. 잔류 염소량은 물속에 염소를 넣은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남아 있는(유리되어 있는) 염소의 양이다.
- 염소 소독의 장/단점
장점 : 소독 효과가 빠르다, 침전물이 생기지 않는다, 주입 시 조작이 간편하다.
단점 : 냄새와 맛을 느끼게 하며 독성이 강하다.,
*표백분 소독 (클로르칼크 소독)과 오존 소독
우물물, 풀장과 같은 대량 소독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고 가정용수에는 끈기가 있는 흰가루를 사용한다. 오존 소독은 탈취 작용 및 바이러스에 효과적이다.
3-3 하수도.
하수는 인간의 생활과 산업으로 인해 생기는 오수 및 빗물, 즉 쓰지 못하는 물을 말한다. 하수에는 오수(공장 폐수를 포함한 모든 더러워진 물)과 천수(눈,비)가 있다.
* 하수처리
***하수 처리 과정***
예비 처리 → 본 처리 → 오니 처리 순이다.
*** 예비 처리 ***
예비 처리는 큰 부유 물질을 제거하고 광물질의 부유 물질(토사 등)을 침전 제거하며 침전법이나 황산 알루미늄을 이용한 약품 침전법을 이용한다.
*** 본 천리 ***
1) 혐기성 처리
- 산소가 없는 상태로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
- 최종 산물 : 물, 탄산가스, 메탄, 암모니아
- 악취가 난다
- 처리 방법 (소규모 처리) : 부패조 탱크, 임호프 탱크
- 임호프 탱크는 하수의 부패를 방지 (침전실과 침사실로 분리)
- 액체와 고체의 분리와 부패 작용을 한다
2) 호기성 처리
- 살수 여과법과 활성왜법 (활성 오니법), 촉여상법, 곤계법, 산화지법 등이 있다.
- 살수 여과법(분수식)
- 활성왜법(촉진왜법)은 충분한 산소를 촉진하므로 무기질과 가스로 변화되고 살균되며 부유물이 응집되어 용이하게 침전하는 방법이다.
*** 오니처리 (마무리 단계) ***
- 마지막 단계의 처리
- 지역과 종류에 따라 처리하는 방법이 다르다.
- 육상 투기, 해양 투기, 사상 건조법, 퇴비화, 소화법 등이 있다.
* 하수 처리의 목적
감염병이나 질병의 전파를 방지, 생활 환경의 청결과 악취 발생 방지, 상수도원의 오염방지, 자연 환경 파괴 방지, 위생 해충이나 쥐들의 서식방지, 어류의 패사 방지를 위한 목적이다.
*** BOD,량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
- 유기물을 분해 시키는데 소모되는 산소량
- 하수 오염을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
- ppm으로 표시하며 수치가 높다는 것은 부패성 유기물질이 물 속에 많다는 것을 의미 (하천방류시 30ppm 이하)
*** DO량(용존 산소) ***
-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로 용존 산소는 수치가 클수록 좋다.
- 하수 중의 용존 산소량(DO)은 하수 처리 및 방류 후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중요하다.
- 어류 생존에 DO 는 5ppm 이상 ( BOD는 5ppm 이하)
- DO의 부족시 혐기성 부패에 의해 메탄가스 발생과 악취가 발생한다.
***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 호수나 해양 오염의 지표로 사용
-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
3-4.. 오물
* 분뇨 처리법
-분뇨를 비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충분히 부식한 뒤 사용하며 부식한 뒤 사용하며 부식 기간은 여름엔 1개월, 겨울엔 3개월 간이다. 생석회는 인분 소독 시 경제적이고 효력이 있는 약품이며 분뇨의 위생적 처리 목적은 수인성 감염병의 예방, 소화기계 감염병의 예방, 기생충 질환 예방에 있다.
* 폐기물(진개) 처리법
- 폐기물의 처리에는 매립법과 소각법, 비료화법,, 사료법이 있다. 소각법은 태우는 방법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이며 매립법은 땅에 묻는 방법이고 폐기물의 매립후 그 자 리를 주택지로 사용하려면 20년은 경과해야 한다.
-복토(매립 후 흙을 덮는 것)
1) 1일 복토 : 15cm
2) 중앙 복토 : 30 cm (7일 이상 작업 중단 시)
3) 최종복토 : 60cm (단, 식생대층)
3-5. 구충, 구서
*구충, 구서 예방 : 대상 동물의 발생원 및 서식지를 발생 초기에 제거하고 대상 동물의 습성이나 상태를 파악안 후 광범위하게 동시에 실시한다.
*** 위생 해충이 전하는 감염병 ***
1) 모기 : 말라리아, 일본 뇌염, 사상충증 / 구제법 : 산란 장소의 소멸, 살충제 사포
2) 파리 : 파라티푸스,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 구제법 : 방충망, 살충제, 끈끈이 테이프 등
3) 바퀴벌레 : 살모넬라증,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 구제법 : 붕산, 아비산을 빵, 곡물에 묻힘
4) 이 : 발진티푸스, 제귀열, 페스트 / 구제법 : 살충제 살포
5) 진드기 : 유행성 출혈열, 페스트, 발진열
6) 벼룩 : 페스트, 발진열 / 구제법 : 주거 청결, 취를 없애고 일광 소독
7) 쥐 : 유행성 출혈열 / 구제법 : 쥐약, 쥐덫, 살서제(독), 천적인 고양이와 족제비에 의한 구제
4. 위생
4-1. 식품 위생
식중독은 상하거나 부패 식품을 섭취함에 의해 중독이 일어난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부패를 일어난다. 식품에 질병은 세균성 식중독, 기생충증, 화확물질 중독 등이 있다. 식중독의 종류에는 자연 식중독, 화확성 식중독, 세균성 식중독, 알레르기성 식중독이 있다.
4-2. 영양
건강과 생명 유지를 위해서 섭취하는 성분이다.
* 3대 영양소와 3대 작용
1) 열량소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3대 영양소) / 열량 공급 작용
2) 구성소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무기질 (4대 영양소)
3) 조절소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5대 영양소)/ 인체구성조절 작용
물도 영양소로서 신체의 생기 기능 조절 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