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산화탄소(CO)
-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은 산소(O2)보다 강하다(200~250배).
- 일산화탄소(CO) 중독의 예방은 가옥의 개선, 연료의 개선, 보건 교육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 일산화탄소(CO)의 중독 후 후유증은 정신 장애, 시야 협착, 의식 소실, 신경 기능 장애이다.
* 아황산가스(SO2) - 대기 오염의 지표.
- 매연 중에서 발생한다(도시 공해 요인).
- 금속을 부식시키고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 유독 가스체로 호흡 곤란, 가슴의 통증, 자극을 일으킨다.
- 공기보다 무겁고, 취기가 강하다.
- 허용량은 0.02ppm 이하(연간 평균치)
* 오존
- 살균 작용이 있으며 10ppm일 때 권태나 폐렴 증세가 나타난다.
* 공기 필요량
- 사람은 공기가 없으면 살 수가 없으며 1일 성인의 공기 필요량은 13 Kl이다.
***공기의 자정 작용***
- 희석 작용(공기 자체 희석)
- 세정 작용(비나 눈에 의해 분진의 세정, 요해 가스 세정)
- 살균 작용(자외선에 의한 살균)
- 산화 작용(O2, O3, H2O2에 의한 산화작용)
- 탄소동화 작용(식물의 CO2와 O2의 교환 작용)
***공기의 유해 성분***
- 공기의 유해 성분에는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진 애(먼지나 티끌)가 있다.
* 군집 독
- 특정 공간에 많은 인원이 밀집되어 있을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으로 불쾌감, 두통, 구토, 현기증, 식욕 저하, 권태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2-2 기후 위생(공기)
기온, 기습, 기류, 기압이 있다.
* 기온
- 공기 중의 온도 측정, 즉 기온 측정은 섭씨(C)와 화씨(F)로 측정한다.
- 기온의 측정은 실내에서는 1m 높이에서 측정하고 보통 지상에서는 1.5m의 높이에서 측정한다.
- 쾌적한 온도 : 16도~20도 / 작업장 : 1도~20도 / 사무실 : 15도~20도 / 막노동 : 5도~15도
- 기온이 10도 이하에서는 나방을 실시하며 26도에서는 냉방을 실시한다.
- 실내, 실외의 온도 차는 5도~7도 이내로 냉방, 난방을 실시한다.
- 머리와 발의 온도 차이는 2도~3도가 넘지 않아야 한다.
- 의복에 의한 체온 조절의 범위는 10도~26도이다.
- 감각 온도의 3요소는 기온, 기습, 기류이다.
- 지적 감각 온도는 63~71F이다.
- 기온 역전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하층부보다 상층부의 기온이 높은 상태).
- 열중 증은 기온과 습도가 동시에 높은 이상 기온인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함으로써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경련, 열, 일사병)이나 장애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이상 기온은 대기 오염을 초래하며 우리 몸의 체온 조절을 원활하게 하지 않는다.
* 기습
- 공기 중의 수증기를 말하며 건습구 온도계로 측정한다.
- 우리 몸에 아랍은 습도는 65% 전, 후이며 적정 습도는 40~70%이다.
- 낮은 습도는 호흡기 점막에 영향을 주며 화재의 위험을 일으키고 높은 습도는 무더우면서 땀의 발산을 막는다.
- 비교 습도는 공기 1m(세제곱미터)가 포화 상태에서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과 실제 함유된 수증기의 양의 비율(%)을 말한다.
- 수증기와 관련된 상태와 현상
포화 상태 : 수증기의 양이 최고조일 때
연무 상태 : 수증기의 양이 많을 때
황사 현상 : 건조한 상태일 때
- 온도와 습도는 반비례 관계이다.
* 기류
- 공기의 흐름과 방향을 말하며 카타온도계(단위 면적에 따라 손실된 열량으로 공기의 냉각력 측정 및 실내 공기를 측정하는 데 쓰는 기구)를 사용한다.
- 기류의 작용은 체온 조절, 방열 작용, 신진대사의 원활, 자연, 주거, 대기 환기
- 기류의 비교
실외 기류 : 1m/초 내
실내 기류 : 0.2~0.3m/초
무풍 : 0.1m/초
불감 기류 : 0.2~0.5m/초
* 기압
- 공기의 압력을 말한다.
***불쾌 지수***
- 불쾌 지수(DI : Discomfort index)는 실제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지수를 말한다.
- 불쾌 지수는 기온과 기습에 의해 산출된다.
불쾌 지수(DI) : (건구 온도 + 습구 온도) X 0.72 + 40.6
DI 85 이상 : 견딜 수 없는 상태의 불쾌 지수
DI 80 이상 : 대부분이 불쾌한 상태(90%)
DI 75 이상 : 대부분이 불쾌한 상태(50%)
DI 70 이상 : 다소 불쾌(10%)
2~3주택 위생
* 주택의 조건
- 대지는 양지바른 쪽을 선택하여야 하며 동남쪽을 향해서 지어야 한다.
- 주택지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는 폐기물의 매립 시 적어도 20년은 지나야 한다.
- 주택지의 토지 표면은 배수가 잘되고 건조하여야 한다.
- 지하수는 3m 이상 깊이 파야 하며 양질의 지하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 일광, 채광, 통풍이 잘되어야 한다.
- 한 사람의 최소한 공간은 10 m(세제곱미터) 이상은 되어야 한다.
- 주택 사이의 공터가 충분해야 한다.
- 단층일 경우에는 공지와 대지의 비율이 3:2 정도이며 이층일 경우 공지와 대지의 비율은 5:5 정도이다.
* 채광의 조건
- 창문 : 창의 설치 방향은 남향이 좋다.
창의 높이는 높을수록 좋다.
벽 높이의 1/3 정도, 벽 면적의 1/3 정도
방바닥 면적의 1/5~1/7 정도
- 입사각 : 창문을 통해 빛이 들어올 수 있는 각도 28도 이상(대형 물체가 없을 때)
- 개각 : 창문을 통해 빛이 들어올 수 있는 각도
4~5도 이상 (대형 물체가 있을 때)
- 조도는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며 조도의 단위는 Lux(럭스)이다.
* 조명의 종류
- 전체 조명, 부분 조명, 직접 조명, 간접 조명
미용법규 1 (0) | 2023.07.04 |
---|---|
환경위생 2 (0) | 2023.07.04 |
환경 위생 I ~ II (0) | 2023.07.04 |
공중보건학 (0) | 2023.07.04 |
미용학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01 |